본문 바로가기
쉽게 풀어 쓰는 경제

전고체 배터리, 전기차의 미래를 바꿀까?

by 휴먼제임스 2023. 12. 7.
반응형

삼성 SDI가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사업화 추진팀을 신설했다고 합니다. 중대형전지사업부 내 ASB(All Solid Battery) 사업화 추진팀을 신설했습니다. ASB 사업화 추진팀은 전고체 배터리 사업의 추진을 위해 꾸려졌습니다. 전고체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기존 액체에서 고체로 대체해 안전성과 성능을 대폭 개선한 배터리입니다. 삼성 SDI는 전고체 배터리를 오는 2027년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로 한다고 합니다. 

 

전고체 배터리
출처 : 연합뉴스

 

전기차용 전고체 상용화가 가장 앞선 곳으로는 삼성 SDI와 LG에너지솔루션, 일본도요타 등입니다. 

그럼 이제 전고체 배터리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고체 배터리란?

전기를 흐르게 하는 배터리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해질이 액체가 아닌 고체로 된 차세대 2차 전지입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2차 전지인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 액체 전해질로 에너지 효율이 좋지만,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고 전해질이 가연성 액체여서 고열에 폭발할 위험이 높습니다. 

 

리튬이온배터리와 전고체배터리 비교

 

전고체 배터리는 전해질이 고체이기 때문에 충격에 의한 누액 위험이 없고, 인화성 물질이 포함되지 않아 발화 가능성이 낮아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 또 액체 전해질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충전 시간도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짧다. 여기다 대용량이 구현이 가능해 완전 충전할 경우 전기차의 최대 주행거리를 800km 이상으로 늘릴 수 있습니다.

 

특히 전고체 배터리는 확장성이 높아 플렉시블(flexible) 배터리로 활용할 수 있어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이 많은 전고체 배터리이지만, 고체 전해질의 경우 액체 전해질보다 전도성이 낮아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현재까지 전고체 배터리 양산에 성공한 기업은 없으며 배터리 규격의 국제 표준화, 수명 예측 기술 개발 등이 필요해 상용화에는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반응형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 한농화성 ◀

1976년 설립된 정밀화학제품 생산 및 판매업체로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 회의에서 총사업비 약 1172억 3000만 원 규모의 '친환경 이동수단용 고성능 차세대 2차 전지 기술 개발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함으로써 주가가 상승 중입니다.

 

한농화성 주가
출처 : 네이버

 

 

▶씨아이에스 

리튬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전극 제조 관련 장비를 전문으로 제작하는 기업으로 2차 전지 전공정인 Coater, Calender, Slitter, Tape Laminator 및 기타 설비 등을 생산한다. 씨아이에스는 코팅공정에서 기존 열풍 방식의 건조 시스템의 틀에서 벗어나 과열증기를 이용한 건조 방식의 코터를 개발하여 생산성을 높였으며 슬리팅 공정에는 불량 부분을 식별하는 라벨러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씨아이에스 주가

 

 

 

반응형